
(참여형🙋) 재미있는 철학적 주제 27편 - 피자를 어떻게 잘라야 할까? 🍕 안녕하세요, 모엘입니다. 이번 주제로는 분배에 관한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어려워보이지만, 예시를 "피자를 공정하게 자르는 방법"으로 가져온다면, 좀 편하지 않을까 싶네요.🤗 피자를 공정하게 배분하는 방법에는 많은 예시가 있을 겁니다. 어쩌면 가장 배고픈 사람에게 피자를 많이 가져갈 기회를 줄 수도 있고, 가장 많이 먹는 사람에게 피자를 원하는 만큼 가져가게 할 수 있고, 선착순으로 줄을 세워서 피자를 가져가게 할 수도 있고, 정확히 균등하게 배분할 수도 있죠.🤔 이번 주제에 제가 소개할 철학자를 소개한다면 조금 스포일러일 수도 있는데 그 사람은 <정의론>을 기술한 존 롤스입니다. "절차적 정의", "공정으로서의 정의"를 이야기하기도 하죠.😵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어떻게 피자를 배분하는 게 좋을까요? 롤스가 생각한 정의로운 방법은 무엇일까요? 롤스의 사상을 알든 모르든, 여러분들께서 자유롭게 대답을 해주세요!💁 일요일에 피드백하겠습니다🤗

EurieXD
2023.12.11•
배분에 관해서는 많이 생각해 보았어요. 모두에게 평등하게 하자니, 대충 일을 하는 사람에게도 똑같아 이익이 돌아가기 때문에 사회가 발전하지 않을 것이고 결국 모두 피해를 입겠지만, 일한 만큼 주자니 일반인들과 출발선이 다른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예를 들자면 돈이 많은 재벌 집의 사람은 어려서부터 호화롭게 살며 좋은 교육을 받아 할 수 있는 것의 범위가 넓을 수 있지만, 돈이 부족하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기 힘들어 선택의 범위가 좁아질테니까요. 그리고 신체적으로 건강이 좋다면 할 수 있는 것이 늘어나지만, 장애가 있거나 질환이 있다면 할 수 있는 것이 줄어들테니까요.
그래서 생각해본건, 기본적으로 똑같이 나누지만 열심히 하고 노력하는 사람들에게는 조금 더, 대충하는 사람은 조금 덜 주는 것이였어요. 잘하는 것이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하는 것이 기준인 것이죠. 물론 이 기준이 주관적이니 논쟁이 많을 것이고, 어찌저찌 세운 기준과 규칙을 교묘하게 피해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지금의 대부분의 규칙도 그렇게 되어있고, 사람들의 양심을 믿으며 만일 믿음이 배신당하면 세부적인 조항들을 추구하잖아요.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용기라고 생각해요. 토머스 홉스는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는 말을 했었어요. 저는 이걸 조금 변형하고 싶네요. 만인을 위한 만인의 투쟁으로요. 모두를 위한 노력이 많는 사람들에게서 실천되고 있고, 이기적이고 비양심적이며 믿음을 배신하는 자들은 사회적으로 비판 받으며,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한 노력이 만연에 있으니까요. 모엘님의 질문이나, 이런 대답들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에서, 저는 인류가 이미 많은 길을 걸어온것 같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더 많은 길이 남아있겠지만, 만인을 위한 만인의 투쟁으로 우리는 더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2
1
답글 1

EurieXD 님에게 도움과 영감을 주는 답글을 남겨보세요